안녕하십니까 깡입니다.
여러분은 지금 EES 프로그램 간편 사용법 plot 편에 대해서 보고 계십니다.
여차 저차한 일로 인해서 오랜만에 올리게 된 점 대단히 죄송합니다.
오늘도 열심히 plot 메뉴에 대해서 나가 보도록 하죠
생각보다 plot 메뉴에 관해서 길어지고 있는 것 같군요...
그럼 시작합니다.
우선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을 해 둡니다.
(클릭 하셔서 큰 화면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기억이 안 나시는 분은
EES간편사용법(11)-parametric table(5)
편을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 이후에는 Last Run 부분의 숫자를 10으로 바꿔 둡니다.
a와 b값이 Run 10이후로 변동하니깐요.
그 이후에 우측 하단에 Line /Symbol / Color tab을 이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Line tab 입니다.
위 그림과 같이 수 많은 선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냥 일반 점선을 택해 보도록 하죠.
그다음은 symbol tab입니다. 원 모양을 택하도록 합시다.
마지막으로 Color입니다.
빨간색을 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이후에 OK를 누르게 되면.
보기와 같은 그래프가 나타남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Overlay 메뉴를 사용하겠습니다. 저번에 해 봐서 쉽게 하실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First Run에 11을 입력합니다 (11열부터 그래프를 그리겠다는 뜻이죠. )
그 이후에 OK를 누릅니다.
예쁘게 Overlay 가 되어서 같은 table에 두 개의 그래프가 생겼군요.
그런데 뭔가 밋밋함을 알 수 있습니다.
0이 관련된 라인을 표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X=0 , Y=0)
Y축을 더블 클릭해 봅니다.
이 창은 지난 포스트에서도 약간 설명을 했었는데요. 추가로 더 설명하겠습니다 .
Grid Lines와 Zero lines가 보이는군요.
우선 Y축에서 Zero Lines 를 클릭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하는김에 X축으로 바꾸고 역시 Zero lines 에 체크를 합니다.
그 이후에 확인을 누르면?
위 그림과 같은 모양을 나타냄을 알 수 있습니다. X,Y 각각 0인 축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뭔가 이래도 잘 안 나타나는 듯한 느낌이다. 그러면 다음 방법을 사용합니다.
편의상 이번 작업은 Y축만 하도록 하겠습니다.
Zero Lines를 끄고 Grid Lines를 켭니다. 그 이후 확인을 누르면.
보기와 같이 grid line이 뜸을 알 수 있습니다.
눈치 빠르신 분은 하단에 #Ticks/Division 메뉴가 뭔지 궁금해 하실 겁니다.
우선 숫자만 바꿔 보도록 하겠습니다.
변함이 없습니다. 이거 뭔가 이상한데요.
#Ticks/Division 메뉴를 한번 눌러봅시다.
#Grid lines/Division 으로 바뀌게 되는데요. 이 상태에서 OK를 눌러봅시다.
선이 뭔가 촘촘해 짐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번엔 숫자를 1로 다시 바꿔 보도록 합시다.
덜 촘촘해 짐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의 경우 간격과 간격 사이에 몇 개의 줄을 추가로 설정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근데 그러면 이 Grid setting을 그리기 전에는 어떻게 못 하냐구요? 가능합니다.
New plot setup에서 하단에 Grid lines 를 체크 해 봅시다.
보기와 같이 미리 생성이 된 상태로 그래프가 그려짐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 부가적인 세팅을 하여야 합니다. )
오늘 포스팅의 마지막으로. 앞에서 저희가 구간을 나눠서 그린 그래프를 한번에 그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간 설정을 하지 않은 이 상태 그대로 OK를 눌러 보겠습니다.
보기와 같이 정체를 알 수 없는 그래프가 발생함을 알 수 있습니다.
Table에서 변수를 바꾸는 구간을 잘 알고 그려야 예쁘고 원하는 그래프가 나옴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a 나 b등이 변할 떄마다 다시 그리는건 너무 노가다 작업이 될 것이고요.)
그럼 이만 이번 포스팅을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Grid 에 대한 못다한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하죠.
'ees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EES간편사용법(18)-plot(6) (1) | 2013.02.11 |
---|---|
EES간편사용법(17)-plot(5) (0) | 2013.02.05 |
EES간편사용법(15)-plot(3) (0) | 2013.01.17 |
EES간편사용법(14)-plot(2) (0) | 2013.01.15 |
EES간편사용법(13)-plot(1) (0) | 201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