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of Runs'에 해당되는 글 2건
- 2013.01.05 :: EES간편사용법(12)-parametric table(6)
- 2013.01.01 :: EES간편사용법(11)-parametric table(5)
EES 간편 사용법 12강 , parametric table 6강입니다.
이번을 끝으로 parametric table 포스팅을 마칠까 하네요.
그리고 그 다음부터는 plot 등 다른 사용법으로 들어가 볼까 합니다.
오늘 EES 사용법의 경우는 좀. 편의적인것이랄까나요.
굳이 모르셔도 충분할 내용이긴 합니다.
그래도 한번 시작해 볼까요?
지겨운 화면을 우선 띄워 보도록 하죠.
이제 이 정도는 알아서 하실 수 있을거라 믿겠습니다.
혹시 예전에 값 입력할때 ▼모양 말고 다른 방법으로 입력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해 드린게 기억 나시나요?
오른쪽 버튼으로 Column의 맨 위 항복을 누른 뒤에 Alter Value 들어가는 방법입니다. 거기에 다른 메뉴들을 보일까 합니다.
우선 A 열을 잡고 Properties에 들어가 봅니다.
이렇게 화면이 뜨는데요. 닫고 이번엔 X열에 똑같이 실행해 봅니다.
그럼 이제 메뉴에서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아봅시다.
맨 처음 Title은 처음에 잡은 값 그대로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다음 Unit은 단위를 입력 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Format :1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
처음에 Style 이 있는데 숫자 포맷입니다.
이런 식으로 나오게 되지만. 그리 크게 중요한 것은 아니므로 직접 확인을 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 다음 Background Color 는 그 열의 색을 바꿔주는 메뉴입니다. 뒤에 타이틀 색이나 행 색 바꾸는 것이랑 비슷하므로 뒤에서 설명하겠습니다.
Column width 는 열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는데. 한글이나 엑셀에서처럼 그 열을 잡고 크기를 조절하면 됩니다.
Position에는 이 열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서 이것으로 조정해도 되지만 열 자체를 잡고 Drag&Drop 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그다음 Statics 에는 이 열에 대한 정보를 가르쳐 줍니다.
위에서부터, 합계,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을 의미합니다.
그 다음으로 Sort 메뉴로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화면이 작습니다만. 옆에 Sort x in table 1 을 보시면 여러 가지를 바꿀 수 있습니다.
Order 항에는 내림차순(작은수→큰수)인지 오름차순(내림차순 반대)인지 설정 가능하고, Apply to 에는 이 항만 정렬할지, 모든 열을 다 정리할지를 나타냅니다. Row Range에는 적용할 행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이고요. 그냥 간단히 Descending으로 지정해서 확인을 눌러 보겠습니다.
이렇게 바꾼뒤에 확인을 누르면
이런 식으로 오름차순으로 바뀜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Table1에 커서를 갖다 댄 뒤에 오른쪽 버튼만 누릅니다
단 메뉴인지 버튼만 누르면 자동으로 뜨게 됩니다.
이름을 바꾸고, 색 또한 바꿔보겠습니다.
이런 식으로 바꾼 뒤에 확인을 눌러 봅니다. (title에서는 이름 지우고 바꾸면 되며, Color에서는 눌러서 색을 선택하면 됩니다)
이름과 색이 이쁘게 바뀜을 알 수 있습니다
아까 그쪽 메뉴에서 duplicate는 같은 테이블을 그대로 복사하는 명령입니다.
이번에는 A 열을 지워보도록 하겠습니다. delete Column을 눌러 봅시다.
그럼 지워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지운 항. 또는 처음에 추가시켰는데 추가시키지 못했던 항은
Insert column을 사용하면 됩니다. 선택한 열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방향을 정해서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만 Drag & Drop으로 이동시키면 됩니다)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보신적이 있는 창이라고 생각됩니다.
위의 화면은 a 열을 추가시킨 뒤에 모양입니다.
이번에는 행 별 관리를 해 볼까 합니다.
Add border 항은 잘은 모르겠고(아마도 시각적으로 분리를 두는 것 같습니다)
Background Color는 앞에서의 제목 색 바꿈과 같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적용이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다음은 Insert Runs입니다.
열을 잡고 Insert runs 를 누른 뒤에 No of Runs에 10을 넣어줍니다.
그 밑에 At top은 맨 위에 생성, At bottom은 맨 아래에 생성 After Run은 지정한 열 다음에 생성입니다.
보기와 같이 10개의 행이 입력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다음 show sum을 눌러봅시다. (필자의 경우 Delete Runs 명령-또는 원하는 행을 블록 잡은뒤 Delete 버튼을 눌러서 밑에 두 행을 지웠습니다)
보시면 맨 밑에 Sum이라는 헹이 새로 생김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작업을 하다가 테이블이 사라졌을 경우에는
Windows 메뉴에 Parametric Tables를 누르면 됩니다. 나중에 Plot이나 그런 것도 가능합니다.
예전에 배웠던 Ctrl+F (수식확인) 명령도 보이는군요.
이상으로 Parametric table에 대해서 마칠까 합니다.
이번 포스팅의 내용은 편의를 위한 것이지 크게 신경쓰시지는 않아도 될 것이라고 다시한번 말씀드리면 다음 포스팅에서 뵙죠.
'ees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EES간편사용법(14)-plot(2) (0) | 2013.01.15 |
---|---|
EES간편사용법(13)-plot(1) (0) | 2013.01.06 |
EES간편사용법(11)-parametric table(5) (0) | 2013.01.01 |
EES간편사용법(10)-parametric table(4) (0) | 2012.12.29 |
EES간편사용법(9)-parametric table(3) (0) | 2012.12.21 |
새해가 밝았네요. 방학이 되다 보니 방에서 뒹굴뒹굴 거리니 EES 사용법 포스팅 진도도 잘 안나가는군요.ㅠ 뭐 힘내서 조만간 parametric table 을 끝내도록 하죠.
그럼 EES 사용법 parametric table 5편 지금 시작합니다.
우선 오늘도 parametric table 이다보니깐 띄워야 되겠죠?
단지 이번에 띄울때는 a 포함해서 띄우셔야 합니다 그래야 안 지우고 이해하기 쉬울테니깐요.
a 하나 추가 시키는 것 따위 충분히 따라 올 수 있을거라 믿고 이 창을 맨 처음 띄웁니다. 그러면 우선 a 의 변수를 지정해 줘야 되는데요.
a Column입니다 창에 상단에 보면 나와 있는것을 알 수있죠?
다른 부분은 다 아실거라 믿고 (지금까지 한 부분에 대해서) , 오늘은 저기 창에 밑에 부분 보시면 Repeat pattern every 라고 회색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한번 파악해 볼까 합니다. 이 기능 또한 상당히 유용한 기능입니다.
그림과 같이 체크를 하고 그림과 같이 입력을 해 봅시다.
참고로 저기 저 메뉴에는 Repeat pattern every 라는 메뉴와 Apply pattern every 라는 두 개의 메뉴가 있습니다 우선 앞에 나온 Repeat pattern every 메뉴부터 사용해 볼까 싶어서 그림과 같이 입력을 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적용된 결과인데요 Repeat pattern every 메뉴는 보시다 시피 거기 입력한 간격을 토대로 되풀이 하는 작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룹1(처음~끝) , 그룹 2(처음~끝), 그룹3(처음~ 끝) 이런 패턴이죠.
그럼 이번에는 x column을 이용해 보도록 합시다.
x column에는 Apply pattern every 라는 메뉴를 사용할까 합니다.
위에서처럼 보기와 같이 입력합니다.
그 이후에 OK를 누르게 되면
보시면 아시겠지만 아까 Repeat pattern every 메뉴와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Apply pattern every 메뉴는 그 메뉴에 입력한 숫자만큼 반복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처음, 처음, 처음, 처음, 처음, 다음, 다음, 다음, 다음, 다음(위에 실행한 느낌입니다) 이런 식으로 나오게 되는 것이죠
Repeat pattern every 메뉴가
그룹1(A~N) , 그룹 2(A~N), 그룹3(A~ N)이런 패턴으로 간다면
(처음에서 끝 까지의 개수가 입력한 개수가 됩니다.)
Apply pattern every 메뉴는
A, A, A, A, A , B ,B, B, B, B 와 같이
같은 숫자를 패턴메뉴에 입력한 수 만큼 반복하고 다음 숫자로 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효율과 유량이 변함에 따라 어떻게 사이클이 바뀌는 가 같은 열 역학 문제 등을 쉽게 풀 수 있게 합니다.
우선 이 경우의 결과를 보실까요?(뭐 너무 쉬운 식이라 그냥 계산할 수도 있겠지만요)
이렇게 계산이 됩니다 아까 말한 효율/유량 사이클 문제에서.
x에서 썻던 Apply pattern every 메뉴를 효율에 넣고
a에서 썻던 Repeat pattern every 메뉴를 유량에 대입시키면
효율 몇 %일때 유량이 변해감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등을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엔 패턴의 숫자만 다르게 한번 해 보죠.
우선 a column입니다.
패턴 메뉴의 숫자를 2로 다르게 하니깐 1과 5가 순차적으로 반복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엔 위에서와 똑같이 x column을 사용하되 패턴 갯수를 2로 바뀌봅시다.
보기와 같이 이번에는 같은 숫자가 2개씩 나오고 넘어감을 알 수 있습니다.
결과를 마저 계산해 볼까요?
이런 식으로 나오게 됩니다.
앞에서 유량/효율 식 등을 말한 것 처럼 어려운 수식일 지라도 독립변수의 변화에 따른 종속변수의 변화를 알아 볼 수 있는 메뉴가 이 두 메뉴가 아닐까 합니다.
지금까지 글을 보시고 꾸준히 따라하신 분이면 이런 의문이 들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듭니다.
'ees 그거 좋은거라던데 고작 10개밖에 계산을 못하나?'
라고 말이지요. 물론 아닙니다.
처음 테이블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계속 따라 하실 경우 Table : Table 2 라고 되어 있을 것입니다( 자동으로 생성시 Table 1, Table 2 이런 순으로 이름이 나가게 됩니다. Table 이름을 바꾸는 방법 중에 하나는 이것이 되겟고요(자세한건 다음 포스팅에 추가로 설명하겠습니다.)
위에 보시면 No. of Runs 라는 것이 보이시죠? 그리고 그 다음에 10 이라는 숫자가 적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CD버전이든, 교수님께 배포받은 데모버전이든 계산 횟수를 바꾸려면 저 숫자를 바꾸면 됩니다 그럼 100으로 바꾸고 OK를 해 볼까요?(변수는 a , x ,y 다 넘기겠습니다)
보시다 시피 옆에 스크롤바가 생겨 있고 재생버튼 밑에 1...100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스크롤바를 끝까지 내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딱 100번째 까지 다 나와 있습니다. 그러면 이 계산이 무한대로 되냐고요? 그건 아닙니다. 한번 다시 실험을 해 볼까요.
이번엔 10000번을(만번) 넣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누르고 확인을 누르게 되면?(참고로 Table 1이 있는 상태에서 New Parametric Table을 만들어서 Table 이름이 자동으로 Table 2 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9000번이 최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뭐 이렇게까지 많이 할 일은 잘 없겠죠?
(많이 하면 많이 할 수록 그래프는 이뻐지긴 합니다만- 그래프: 독립변수에 따른 종속변수 대응값을 독립변수를 수 없이 바꿔가며 그린 것- 그래도 어느정도 지나가면 별반 눈으로 보기엔 차이가 없으니깐요)
그런데 하다보면 계산 횟수가 바뀌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그때마다 Table 을 새로 생성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어떻게 해야 할까 싶은 생각이 들 겁니다.
그럴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써 볼까 합니다
-단 이것은 데모버전, 또는 정식 버전에서만 가능하며 , 열역학 책에 동봉된 CD버전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방법입니다-
새 테이블을 하나 만들어 봅시다.
a 값에 1에서부터 1000까지를 입력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것은 보여드림을 위한 것으로 이번에는 계산 끝까지 돌리지는 않습니다)
우선 기본 상태입니다.
보기와 같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Last Run을 1000으로 바꿔 보도록 하겠습니다(현재 교수님께 배포받은 데모버전 사용하는 중입니다)
그러고 OK를 누르게 되면
보기와 같이 990 row를 추가할 것인가를 물어보게 됩니다 No를 누를 경우에 Last Row 가 다시 10으로 원상복귀됩니다. Yes를 눌러봅시다.
보기와 같이 새롭게 1000번째 열까지 생겼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 줄이는 것은 알려 드릴 테지만 일단 늘이는 것은 이런 방법으로 늘이게 되면 됩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CD버전에서 똑같은 작업을 다시 한 번 해 볼까요?
앞에서 한번 말씀드렸다 시피 CD버전은 복사, 붙여넣기, 저장 불가능이며 상단에 메뉴에 Cengel & Boles 라고 책 기준 예제 메뉴가 있습니다.
이 뒤에 확인을 누르게 되면
CD 버전에서는 적용이 안됨을 알 수 있습니다.
EES에 대해서 교수님이 배포를 안 해주시고 CD버전만으로는 한계점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제대로 공부하고 활용하고 싶으시다면 사용하는 교수님께 데모버전을 구할수 없느냐고 물어보는것이 방법이겠죠(정식버전이 최고로 좋지만 라이센스값이..ㅠ)
오늘은 좀 길었네요.
지금까지 패턴 활용법, 계산횟수 늘이기 등을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parametric table에서 여러가지 잔 기술 들을 알아 보고 마칠까 합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뵙죠.
'ees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EES간편사용법(13)-plot(1) (0) | 2013.01.06 |
---|---|
EES간편사용법(12)-parametric table(6) (0) | 2013.01.05 |
EES간편사용법(10)-parametric table(4) (0) | 2012.12.29 |
EES간편사용법(9)-parametric table(3) (0) | 2012.12.21 |
EES간편사용법(8)-parametric table(2) (0) | 2012.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