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s관련 2012. 12. 21. 16:17

안녕하십니까.

갑자기 학기가 바쁘게 흘러가는 바람에 한동안 포스팅 못했습니다.

아마도 지금부터는 방학이니 최소 한주에 한번(또는 두번 생각중입니다) 포스팅을 하지 않을까 합니다.

저번시간에 Parmetric table에 대한 간단한 사용법 정도를 보여 드린것 같은데요.

그 중에 종속변수 바꾸는 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할까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제가 그냥 종속변수를 입력하라고 했던 것 같은데요.

선형으로 변한다던지. 일정 간격으로 변할 경우에는 그런 방법이 곤란할 수 있습니다.

 우선 예전처럼 y=a*x로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이까지는 앞의 포스팅 보시면 따라 올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럼 x의 값을 1부터 10까지 선형으로 변화 시키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그러기 위해서는 입력창을 띄워야 하는데요. 크게 세가지 방법이 있습니다(같은 방법이지만 경로가 다릅니다)

처음 방법은 Parametic table 저 창에서 각 변수 우측상단에 ▼모양을 누르는 것입니다.

그리고 두번째 방법으로는 종속변수로 둘 칼럼에서 우클릭을 한 다음에 Alter Values 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누르면 첫 번째 방법 결과와 같은 창이 뜸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 방법으로는 직접 위에서 켜는 방법이 있습니다.

 

위의 두가지 방법이랑 다른 모양의 창이 뜸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두 창을 한번 비교해 봅시다.

모양은 다르지만 내용은 비슷함을 알 수 있습니다 테이블에서 직접 켰을때는 미리 변수를 지정하고 켜는 거지만 메뉴를 이용하여 켰을때는 (세번째 방법) 원하는 변수를 입력 할 수 있다는 점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쓰기엔 테이블이 더 편하지만요)(대신 테이블이 명령 창에 의해 아래로 내려갔을 경우에는 세번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두 개 다 비슷한 창을 띄우므로 저는 앞의 창을 이용해서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x Columm1이라고 쓰여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첫번째 열이며 변수의 이름은 x 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First Row와 Last Row가 있는데요 이 방법을 통해 어느 열을 지정해서 넣을 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First Row는 시작하는 행 이며 Last Row는 끝나는 행입니다. 지금의 경우에는 1에서부터 10까지 다 넣을 예정이므로 저대로 두고 시작하겠습니다.

그리고 그 하단에 First Value 가 있고 Last Value가 있습니다. 첫 값과 마지막 값을 입력합니다. 1에서부터 10까지 입력 할 것이므로 첫값은 1 마지막값은 10 을 넣어줍니다.  그 이후에 Apply 버튼을 누르고 OK를 눌러도 되지만 그냥 OK만 눌러도 됩니다.
Last Value에는 여러가지 창이 있습니다만 일단은 선형으로 하고 나머지는 나중에 설명하겠습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결과창이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solve table을 누르면

보기와 같이 계산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엔 방법을 다르게 하여 1열에는 200, 2열부터 8열까지는 1에서 13까지 9열은 20 10열은 150을 넣어 보겠습니다.

우선 1열 9열 10열을 각각 입력합니다.

그 다음에 ▼모양을 눌러 입력창을 켭니다.

첫값과 마지막값을 지정해 주었기 떄문에 (1열 10열 기입력) 저렇게 곧바로 값이 들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첫열: 2열 마지막열 : 8열              처음값:1 마지막값:13)
그리고 확인을 눌러주면

이런 창이 뜨고 게산을 마저 누르게 되면

이렇게 계산이 됩니다. 이 식을 그대로 쓰고 이번에는 y를 바꿔보고 싶은 경우에는 우선 x 열에 값을 지워야 합니다 (안그럼 저 앞의 사용법에서 보신것처럼 충돌 발생) x열 값을 지우기 위해서는

이렇게 Clear Value를 선택하고 OK를 누르면 됩니다

이제 정 반대로 y축에 값을 넣으면 되겠습니다.

이번 포스트에는 이것저것 많이 넣다 보니 좀 길어진 감이 없지 않은데요.
나머지 부분은 다음 포스팅에서 마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스카이깡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