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log)'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3.02.11 :: EES간편사용법(18)-plot(6) 1
  2. 2012.12.29 :: EES간편사용법(10)-parametric table(4)
ees관련 2013. 2. 11. 22:57
안녕하십니까 깡입니다.
여러분은 지금 EES 프로그램 간편 사용법 plot편을 보고 계십니다 .

우선 이번 글은

EES간편사용법(10)-parametric table(4)

이 포스팅과 함께 해 주시면 좀 더 좋다는 것을 알려 드립니다.

 예전에 얼핏 parametric table 언급 할 때에 여러 사용법에 대해서 말씀 드리면서 log 좌표계로 parametric table을 꾸밀 수 있다고 말씀 드린거 같네요.
parametric table에서 되면 당연히 plot에서 구현을 할 수 있겟죠?
오늘 할 내용은 바로 그것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우선 위와 같은 테이블을 만듭니다. 이 정도는 다들 간단히 만드실 수 있으시죠?

그다음 New Plot 을 열어 위의 그림과 같이 세팅을 해 둡니다
(Grid lines , 그리고 범위 등)

보기와 같은 그래프가 나옵니다
(앞의 포스팅에서 기본 grid 설정은 초록 실선임을 알려드렸습니다)

그럼 이제 설정을 합니다(그래프 그려져 있는 창 더블클릭을 하면 됩니다)
symbol및 grid lines 설정을 보기와 같이 바꿔 줍니다.

symbol이 생기고, grid line 설정을 바꾸게 되면 이렇게 보기가 쉬워집니다.

그러나 중간중간에 symbol들의 위치를 보면 뭐가 약간 아쉬워 보입니다.
그 기준을 바꿔 보도록 합니다 (linear scale 에서 log scale로)

그리고 난 이후에 확인을 누르게 되면

이런 그래프가 나오게 됩니다.
x축은 linear scale , y축은 log scale이 적용되었습니다.

이런 경우 말고 x축이 10의 거듭제곱으로 넣어져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그 경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보기와 같이 식을 쓰고 parametric table을 띄웁니다.

이런 결과가 나옴을 알 수 있습니다.

EES간편사용법(10)-parametric table(4)
에서 등간격 log 점 생성임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것이기도 하고요.

그럼 이제 Plot을 띄워봅시다.

위와 같이 설정합니다 grid 및 범위 주의!

결과 그래프 되겠습니다. 하단에 작은 검은 줄 하나 보이시는지 모르겠네요.
그래프 Size 보다 워낙 작아서 그냥 줄로 보이는 모양입니다.

그럼 앞에서 배운 방법을 써 보도록 합시다.

그래프에서 더블클릭 또는 우클릭을 하면 이런 창이 나오는데
y_2 vs x_1 에서 Y-axis 부분을 Y2로 바꾸고 확인을 누릅니다.

보기와 같은 결과 그래프가 나오겠습니다.

grid line이 복잡해 보이는 것은 양쪽 grid를 다 적용한 것이 되어서입니다 원하지 않는 축은 꺼 주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EES 에서는
Linear-Linear (선형-선형) 뿐 만 아니라
Log - Linear(로그- 선형) , Linear - Log , Log - Log 의 그래프도 가능합니다

특히 Log 좌표계가 가능하다는 것은 뒤에 열역학 물성치를 이용할때 상당한 이점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그럼 이만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뵙도록 하죠.

 

'ees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EES간편사용법(20)-duplicate(2)  (0) 2014.12.17
EES간편사용법(19)-duplicate(1)  (0) 2014.12.11
EES간편사용법(17)-plot(5)  (0) 2013.02.05
EES간편사용법(16)-plot(4)  (0) 2013.01.27
EES간편사용법(15)-plot(3)  (0) 2013.01.17
posted by 스카이깡깡
:
ees관련 2012. 12. 29. 16:55

저번 포스트에서 parametric table에 대해서 좀 보여드렸는데요.
이번에는 그 테이블 설정 중에서 마지막 값(Last Value)를 바꾸면 어떻게 되는가를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솔직히 저의 경우도 작년에 EES를 배웠을 때는 몰랐다가 이번에 포스팅을 하면서 알게 된 내용이기도 하고요.

그럼 시작합니다.

우선 parametric table을 띄웁니다. 물론 처음 설정은 언제나 그렇듯이 y=a*x로 하겠습니다.

이제 너무 많이 봐서 익숙한 화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오늘도 이 간단한 것을 이용해서 많은 것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우선 맨 처음엔 지금까지 해 왔듯이 linear 배열로 해보죠. 즉 선형배열입니다.

첫값(First Value)을 1로 마지막 값(Last -linear)을 10으로 우선 해 보겠습니다.

앞에 포스팅에서 보셧듯이 1에서부터 10까지 나오게 됩니다. 그럼 다른 경우를 한번 더 해볼까요?

이번의 경우엔 1에서(첫값)부터 2까지(마지막값)로 해서 계산을 해 보았습니다.

첫 값과 마지막 값이 설정이 되고 그 사이에 점들이 생성되게 됩니다.
matlab 명령어 중에 linspace(a,b,c)인 명령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a는 첫값, b는 마지막 값 ,c는 생성할 점 갯수인데요.
여기서도 마찬가지 역할이 아닐까 합니다.
matlab에서 a 에 해당 되는것이 EES에선  First Value, b에 해당되는것이 Last(linear), c에 해당하는 것이 (Last Row - First Row +1)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1≦x≦10 인 경우 x는 10-1+1=10개,  1≦x<10 또는 1<x≦10인 경우 x는 10-1=9개, 1<x<10 인 경우 10-1-1=8개 의 관계를 나타내게 되고 두 열도 다 포함 되므로 첫번의 경우를 사용하였습니다)

다음으로 Increment로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디 있냐면요 위치는.

여기에 이렇게 있습니다. 어? Last가 안 붙어 있네요 그 이유는 뒤에 보시면 알게 됩니다.  

First Value를 1로두고  Increment를 2로 둔 뒤에 확인을 누르게 되면

이렇게 나오게 됩니다.  Increment 값을 다르게 하여 한번 더 해 볼까요? 값을 이번엔 10으로 해 보겠습니다.

좀 익숙한 느낌이 들지 않나요?

눈치 채셨을 거라고 생각이 되지만, 굳이 설명을 하자면 이 경우는 등차수열입니다.

인 경우가 되겠네요. 입력한 값 중 First Value에는 a_1(위의 식은 ees로 작성하였습니다), 공차 d는 Increment  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번에는 Multiplier로 지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역시  Increment  와 마찬가지로 Last 가 적혀 있지 않습니다.
First Value에 1 Multiplier에 2를 넣고 입력해 보면

이렇게 나옴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Multiplier 값을 3으로 두고 한번 다시 해 볼까요?

역시 눈치가 빠른 분들은 감을 잡으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경우는 등비수열을 의미합니다. 

First Value 값은 a_1, Multiplier 값은 공비 r을 의미하게 됩니다.

그럼 이제 마지막으로
Last(log) 설정으로 해 볼까요?
First Value에는 1을 Last(log)에는 1000을 입력하고 계산을 해 봅시다.

log space에서 10개 등간격 점을 찍어 냈음을 알 수 있습니다.
matlab의 명령어로는 logspace(a,b,c)가 있겟네요.
다른점은 matlab에서는 10^a 에서 10^b까지 c개의 점이라면
EES에서는 First Value에서 Last Value 까지의  (Last Row - First Row +1) 개의 점이라는 점 정도겠네요(matlab에서는 10의 지수부분만 입력하면 되지만 EES는 숫자를 그대로 입력해야 함)
솔직히 log단위계의 경우는 그냥 봤을 경우에 이것이 맞는지 아닌지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면은 있습니다. 그 부분은 뒤에 Plot 포스팅에서 알아보고 확인시켜 드릴까 합니다(등간격 점)

간단히 정리하자면
Last(Linear)는 선형 등 간격점
Increment 는 등차수열
Multiplier 는 등비수열

Last(log)는 Log scale 등 간격점 이 되겠습니다.

이제 아마도 다음 또는 다다음 포스팅 정도면 parametric table에 대해서 끝 내게 되겠네요. 그 이후 방향을 미리 적어 두자면 그 이후에는 plot(그래프)에 대해서 설명을 할까 합니다. 많은 레포트 풀이 또는 알아 보기 쉬운것은 역시 표 보다는 그래프겟죠? (중간에 Lookup table을 이용한 보간법에 대해서 잠깐 설명을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래프에 대한 설명이 끝나면 EES의 최대 장점 물성치를 불러 와 쓰는 방법에 대해서 적을 예정입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 올릴때 뵙겠습니다.

posted by 스카이깡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