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s관련 2013. 2. 5. 17:20

안녕하십니까 깡입니다.
여러분은 지금 EES 프로그램 간편 사용법 plot편을 보고 계십니다 .

생각보다 Plot 편이 긴데요. 조만간 끝나지 않을까 합니다.

그럼 오늘도 시작합니다.

우선 위와 같은 parametric table을 작성합니다.
그리고는 곧바로 그래프를 그려보도록 합니다 .
자세한 설정은 아래 그림을 따라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OK를 누르면?

위와 같은 그래프가 생김을 알 수 있습니다.

우선 지난 시간에 배운 grid를 적용해 봅시다. y축에서 숫자 있는 부분에 더블클릭을 해 봅시다

이후에 X , Y 축 둘 다 grid lines에 체크를 해 봅시다. 

보기와 같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어찌 grid선이 많이 진하고 도리어 눈에 부담을 주는 효과를 내는 것 같군요.
그럼 이제부터 이것을 바꿔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프 안쪽에서 더블클릭 또는 우클릭을 실시합니다

위와 같은 그림이 뜹니다 (새로운 창 생성)
더블클릭하여 보시면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우선 계산한 각각의 point 마다 존재하는 symbol을 수정해 보도록 합시다.

symbol에 보시면 옆에 bar 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그 bar를 오른쪽 끝으로 천천히 움직이면 크기가 커짐을 알 수 있습니다
오른쪽 끝으로 보낸 뒤에 Apply 버튼을 누릅니다.
-OK버튼을 누르면 이 창은 꺼지고 적용된 결과가 나오며
-Apply버튼을 누르면 그냥 적용된 그대로 나타나고 창은 꺼지지 않습니다
컴퓨터 설정에서 확인이 OK버튼 , 적용이 Apply버튼이 적용된 예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그래프 부분만 캡쳐한 모습인데 각 point symbol이 커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엔 그 아래에 show every points 부분에서 1을 2로 바꿔봅니다.

그리고 확인을 누르면

이렇게 변합니다
각 계산값마다 존재했던 point가 두개의 계산값마다 존재하게 바뀝니다.

그런데 아직 grid 설정을 하지 않아서 눈이 아프죠? 이번엔 grid 설정입니다.

 

우선 위와같이 선을 점선으로 설정합니다 선은 실선, 점선 두가지가 존재합니다.

그다음 색을 설정합니다. 색의 경우 회색으로 설정을 합니다.

이렇게 설정을 두고 OK버튼을 눌러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좀 보기편해졌군요. 원하는 grid line 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필자의 경우 이 설정으로 굉장히 많이 사용합니다)

이번엔 그 밑에 Exchange X and Y를 눌러봅시다

OK를 누릅니다.

X축과 Y축의 위치가 바뀌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그 다음은 아래에  White background 버튼을 체크해 봅시다.

하얗게 바꼈습니다. print 할때 잉크를 아끼라고 하는 배려로 보입니다.

이번엔 하나 더 식을 추가합니다
Equation Window에 y_2=10^3*x를 입력합니다(y_2=1000*x)

그 이후에 위의 그림과 같이 Windows 메뉴에서 Parametric table을 누릅니다
(앞에서 한번 보여 드린 적이 있겟지만 복습차원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적용한 후에 OK를 누르고 다시 계산합니다.

보기와 같은 결과값이 나오겠죠? 그럼 적용을 해 봅시다.

Overlay plot 기능을 이용하여 겹치기를 해 봅시다
(역시 복습의 느낌)

x와 y_2를 각각 X축 Y축으로 설정하고 OK를 누릅니다.

그래프가 이상하게 나왔습니다. 분명히 다들 아시는 바로는 1차곡선이 나와야 하는데 거의 수직선 모양이 나왔습니다
이것은 겹쳐 그린 그래프가 원래의 그래프의 틀 밖에 보여주지 않아서 생기는 현상인데요. 그러면 이것은 어떻게 수정해야 할까요?

다시 그래프 설정창에 들어가서 하단에 Y-axis 에 Y2를 체크합니다  

이제 그래프가 예쁘게 나옴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 상황에서 그래프를 보다 보면 Y축 양쪽 항목이 다른 그래프를 볼 수 있습니다. 보조축을 사용한다고 하죠? 그 그래프 형식을 EES에서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드린것입니다.
이 이후에 필요한 부가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그래프를 그리기 전에 scale 문제도 알아둬야 함을 알 수 있는 case죠.

이것은 그리기 전에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다시 overlay를 해서 보면 상단과 같은 메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이것으로 X보조축 또한 만들어 짐을 알 수 있습니다
(기본 설정은 X축은 아래에 Y축은 왼쪽입니다)

그리고 그래프를 그리다 보면 Y축의 문자가 90도 회전된 모양이라고 좀 보기가 불편하다고 느껴질 떄가 있는데요 그럴때는 그 문자를 직접 더블클릭합니다.
이 경우에서는 y를 더블클릭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기와 같은 창이 뜹니다. Text 수정은 물론 여러 효과를 넣어 줄 수 있습니다.
그냥 간단히 각도만 바꿔 보겠습니다
수직에서 수평 설정으로 바꿉니다.

그리고 OK 버튼을 누르게 되면?

y축의 문자가 똑바로 서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다른 Text 부가기능은 직접 써 보시길 바랍니다.
(이 정도만 알고 있어도 되고 나머지 부가 기능은 그냥 일종의 꾸미기입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ees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EES간편사용법(19)-duplicate(1)  (0) 2014.12.11
EES간편사용법(18)-plot(6)  (1) 2013.02.11
EES간편사용법(16)-plot(4)  (0) 2013.01.27
EES간편사용법(15)-plot(3)  (0) 2013.01.17
EES간편사용법(14)-plot(2)  (0) 2013.01.15
posted by 스카이깡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