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es관련 2012. 10. 9. 23:23

EES간편사용법(6)-기본인터페이스(5)

지난 포스트에서, 첨자사용, 그리스문자 사용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앞에 포스트 중 하나에서 (기본인터페이스(3)) 설명을 하려다 못 한 수학 함수에 대해서 설명을 할 까 합니다.
저도 아직 배워 나가는 중인지라서 다 설명은 못 해드릴거 같아서 유감입니다만.아는 범위 내에서는 설명을 좀 해보겠습니다. 

공학을 하다보면, 첨자나 그리스 문자 못지 않게 많이 쓰이는게 삼각함수, 역삼각함수, 쌍곡선함수, 지수함수 등이 되겠는데요. 이러한 함수들은 EES 내에 내장이 되어 있습니다.

 


메뉴에서 Options - Function Info 로 찾아 들어갑니다. 옆에 보시면 알겠지만 단축키를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이 이후에 나오는 창은 CD 배포 버전과 1년동안 쓸 수 있는 체험 버전  두 버전이 다르게 뜹니다.

우선 CD 배포 버전을 보시면


이런 식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그리고 1년동안 쓸 수 있는 체험버전은


이렇게 나타나 있습니다. 체험판 버전의 경우에는 다음해 9월 1일 까지 기한이 정해져 있는 대신에 1년마다 업데이트 버전으로 나오기 때문에 좀 더 상세하게 나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 버전 다 맨 위에 있는 함수는 abs 즉 절대값 함수입니다.
이 상태에서 Paste 버튼을 누르게 되면


보기와 같이 자동으로 그 함수가 명령어 창에 붙여넣어지게 됩니다.
이 창에서 VALUE 부분에 원하는 숫자를 넣으면 그대로 돌아가게 됩니다.

 


Value를 지우고 그 자리에 -10 을 넣고 돌려보면 10이 나옵니다. 즉 계산이 된다는거죠.

물론, 아까 그 Function Information에서 곧바로 편집도 가능합니다.

이 이후에 계산을 하면.


이런 식으로 똑같이 결과를 출력해 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나오게 될 포스팅에서도 (열 관련) 이 함수창을 이용하게 되는데 그떄도 역시 필요한 표현은 미리 적용하고 붙여 넣으면 쉽지 않을까 합니다.

그다음은 역삼각함수를 하나 보여드리겠습니다.

 

이후에 value 값에다가 0.5를 넣어서 돌려봅니다


이런 식으로 30이라는 값이 출력이 됩니다.
눈썰미 있으신 분은 파악하시겠지만. 지금 각도 단위는 degree 가 되겠습니다.

공학적으로는 도(degree)단위보다는 라디안(radian) 단위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 그냥 계산해서 라디안으로 변경하기에는 많이 번거로운 작업이 되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그래서 단위계를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것은 앞으로 나올 포스팅에서 설명하겠습니다)

단위계 변환은 Ctrl+Alt+U를 누르시면 됩니다

 

그럼 보기와 같은 창이 뜸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중 지금 우리는 각도가 필요하므로 우측 하단의 Trig Functions에 Degrees 에 체크 되어 있는 것을 Radians로 바꾸면 됩니다 그런 이후에 OK를 누릅니다.

그런 다음에 다시 계산해 보면


위와 같이 조금 이상한 숫자가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단위계를 보면 radians로 바껴져 있음을 알게 됩니다.
원래 π가 180도를 의미하니깐. 이 값은 30도 즉 π/6이 아닐까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럼 한번 확인을 해 볼까요?

 


보시면 아시다 시피 정확히 π/6이 나옴을 알 수 있습니다.

주로 쓰는 수학적함수의 경우 보시면 거의 금방 알 정도의 쉬운함수 (exp(x) , ln(x), log10(x))가 많은지라 그냥 보면 어떻게 사용할 지 감이 올 것이라 사료됩니다.
만약에 잘 모르겠다 싶을 경우에는 엑셀에서 함수를 확인해 봐도 되겠지요.
(영어가 강하신 분은 직접 메뉴얼서 찾으셔도 됩니다만.)

이 함수메뉴의 경우에는 앞으로 열역학 문제를 풀 때에도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열역학 함수는 그때 한번 다시 언급할 예정입니다
그럼 이만 이번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posted by 스카이깡깡
: